무허가건축물 등의 부지를 현실이용상황에 따라 보상평가하기 위해서는 해당 건축물이 1889. 1. 24.부터 계속 존속하고 있어야 한다. > 자료실

본문 바로가기
고객센터고객만족 실천 책임 경영, 사회공헌 정당보상 실현, 윤리 경영

자료실

자료실

질의회신 | 무허가건축물 등의 부지를 현실이용상황에 따라 보상평가하기 위해서는 해당 건축물이 1889. 1. 24.부터 계속 존속하고 있어…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4-11-29 09:57 조회974회 댓글0건
  • 첨부파일 유권해석 무허가건축물 등의 부지를 현실이용상황에 따라 보상평가하기 위해서.pdf (29.9K) 3회 다운로드 DATE : 2024-11-29 09:57:06    다운받기 바로보기

본문

무허가건축물 등의 부지를 현실이용상황에 따라 보상평가하기 위해서는 해당 건축물이 1889. 1. 24.부터 계속 존속하고 있어야 한다.

국토부 2015-07-22 토지정책과-5269

 

질의요지

무허가건축물이 항측판독 결과 1988~ 2014년까지 존치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고, 무허가건물처리대장에서는 1991년과 1997년에는 소멸로 기재되어 있는 경우토지보상법 시행규칙부칙 <건설교통부령 제344, 202.12.31.> 5조제1항의 1989124일 당시의 무허가건축물 등에 해당하는 지 여부

 

회신내용

토지보상법 시행규칙 부칙 <건설교통부령 제344, 2002.12.31.> 5조제1항은 “1989124일 당시의 무허가건축물등에 대하여는 제24· 54조제1항 단서 · 54조제1항 단서 · 581항 단서 및 제58조제2항 단서의 규정이 불구하고 이 규칙에서 정한 보상을 함에 있어 이를 적법한 건축물로 본다.”고 규정하고 있습니다. 토지보상법 시행규칙 부칙 <건설교통부령 제344, 2002.12.31.> 5조제1항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해당 무허가건축물 등이 1989124일 당시부터 계속하여 존속하고 있어야 하며, 소멸된 후 새로 건축된 것인지 여부에 대하여는 사업시행자가 사실관계를 조사하여 판단할 사항으로 봅니다.